전세사기 예방 필수 체크리스트
요즘 뉴스를 보다 보면 '전세사기'라는 단어가 심심치 않게 들려요. 실제로 제 지인도 얼마 전 전세 계약을 앞두고 있었는데, 사기 피해자들의 이야기를 듣고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하더라고요ㅠ
저도 몇 해 전 자취방을 구하면서 관련 정보를 많이 찾아봤던 경험이 있어서, 이번 기회에 전세사기 예방법을 제대로 정리해보려 해요!
1. 등기부등본은 반드시 확인!
등기부등본 보는법은 전세사기 예방의 첫걸음이에요. 등기부등본은 부동산의 소유권과 권리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공식 문서인데, 정부24나 대법원 인터넷 등기소에서 쉽게 열람할 수 있어요.
- 소유자 이름이 계약 상대방과 동일한지 확인
- 근저당권, 가압류 등 권리관계가 복잡하지 않은지 확인
- 최근 소유권 이전 시기가 너무 최근이면 주의
한 번은 임대인이 본인 명의가 아니라며 친구 명의로 계약하자고 하길래 수상해서 등기부등본을 확인해 봤더니 정말 소유자가 달랐던 적이 있었어요. 깡통전세로 의심되는 상황이었죠.
2. 깡통전세 가능성 체크하기!
깡통전세 확인법도 중요해요. 깡통전세란 전세보증금이 매매가에 육박하거나 아예 넘는 경우를 말해요. 이런 경우 집이 경매에 넘어가도 보증금을 돌려받기 어렵죠.
KB부동산 시세나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통해 해당 지역의 평균 매매가를 확인하고, 전세금이 80% 이상이면 다시 생각해보는 걸 추천해요.
3. 전세보증보험 꼭 들어두기!
최근엔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이 필수처럼 여겨지고 있어요. 만약 전세계약 후 임대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할 상황이 오더라도 보증기관에서 대신 지급해줘요.
한국주택금융공사(HF), 서울보증보험(SGI), HUG 등이 보증기관이고, 가입 조건은 조금씩 다르니 미리 확인해보는 게 좋아요!
4. 확정일자와 전입신고는 필수!
전세계약서를 작성한 후에는 반드시 주민센터에 가서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아야 해요.
이 두 가지를 통해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확보할 수 있어요.
이건 제가 실제로 겪었던 일인데, 전입신고를 미루다가 위험할 뻔한 적도 있었어요. 확정일자는 계약 당일에 바로 처리하는 게 가장 안전하답니다.
5. 주변 시세보다 너무 싸면 의심해보기!
가끔 보면 주변 시세보다 한참 낮은 가격에 나온 전세 매물이 있어요. 이런 경우엔 정말 '좋은 기회'일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전세사기일 가능성이 높아요. 특히 신축 오피스텔이나 빌라에서 많이 발생해요.
6. 계약 전에 임대인과 직접 통화해보기!
중개업자를 믿고 계약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임대인과 직접 통화하거나 만나는 것도 방법이에요. 저는 그 과정에서 말투나 설명을 들으며 신뢰가 가는지 판단하곤 해요.
전세사기는 한 번 피해를 입으면 회복이 정말 어려운 만큼, 계약 전 단계에서부터 꼼꼼하게 확인하는 게 중요해요.
전세사기 예방법은 번거로워 보여도 결국 내 돈과 시간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니까요.
이 글을 읽는 분들이 저처럼 한 번쯤은 불안함을 느껴봤거나, 현재 전세 계약을 앞두고 있다면 꼭 전세사기 체크리스트를 하나씩 점검해보길 바랄게요!
혹시 더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정부24(https://www.gov.kr) 나 HUG 홈페이지(https://www.khug.or.kr)를 참고하셔도 좋아요!
정부24
www.gov.kr
HUG 주택도시보증공사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임대보증금보증, 분양보증 등 주택보증 업무, 주택도시기금 전담 운용.
www.khug.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