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 융

2025년 달라진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부터 신청방법, 혜택까지 총정리

by 솜솜디의 별별꿀팁 2025. 2. 27.
반응형

1.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금융상품으로, 일정 기간 저축하면 정부 지원금을 함께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만기 5년(60개월) 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3.3만원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2. 2025년 달라진 점

2025년부터 청년도약계좌는 더 많은 청년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개편되었습니다. 주요 변경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여금 지원 확대
기존 2025년
개인소득 수준에 따라 월 최대 2.1~2.4만원
기여금 매칭한도를 초과한 납입분에는 기여금 미지급
-연 최대 8.87%의 일반적금상품 가입 효과
개인소득 수준에 따라 월 최대 2.1~3.3만원
납입한 만큼 기여금 전부 지급
-연 최대 9.54%의 일반적금상품 가입효과
  • 3년 이상 유지시 혜택강화
기존 2025년
만기(5년) 도래 전 중도해지시 비과세 미적용 및
기여금 환수(단, 특별중도해지 사유 해당시 지원 유지)
만기(5년) 도래 전이라도 3년 이상 유지한 후 중도해지
하는 경우 비과세 유지 및 기여금 지급 유지(60%)
-연 최대 7.64%의 일반적금상품 가입효과
  • 성실납입시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부여
기존 2025년
만기 전 부분인출서비스 이용 제한 2년 이상 유지한 경우, 납입원금의 40% 이내에서
부분인출서비스 이용 가능

 

3. 가입 조건

아래 1~4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자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 나이: 신규 가입일 기준 만 19~34세 이하 (병역복무기간 최대 6년 차감)
  • 개인소득: 총급여액 7,500만 원(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단, 육아휴직급여(육아휴직수당), 군 장병급여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
  • 가구소득: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
    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미성년자)를 기준으로 판단
  • 금융소득: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4. 혜택 및 지원금

청년도약계좌의 가장 큰 장점은 정부 지원금입니다. 가입자는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 지원금을 지급하여 목돈 마련을 돕습니다. 상품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월 최대 70만 원 이하 자유 적립 (5년 만기)
  • 은행이자 + 비과세 혜택 + 정부기여금 지급

   [정부기여금] 납입액에 비례해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 지원

   [비과세 혜택] 납입액과 정부기여금에 대한 이자소득세 0원

  •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 차등 지원
  • 저소득층 청년 대상 일정 수준의 우대금리 제공

  [소득+우대금리] 저소득층 청년을 대상으로 일정수준의 우대금리 제공

 

5. 신청 방법

청년도약계좌 신청은 은행 앱 또는 영업점을 통해 가능합니다. 신청 기간이 정해져 있으므로 미리 확인 후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월]가입신청 - 취급은행 앱
[신청 후 약 2주]가입심사 – 서민금융진흥원
[익월 초]계좌개설 - 취급은행 앱

※개인 및 가구소득 확인 세부 절차 (약 2주 소요)

① 나이 및 개인소득 확인  ② 가구원 확정 및 정보제공 동의  ③ 가구소득 확인  ④ 확인결과 통보
* 행정정보공동이용서비스를 통해 전면 비대면 확인 시행(행안부, 국세청, 병무청)

※ 개인소득은 가입일로부터 1년 주기로 유지심사를 통해 현행화하여 기여금 지급여부  규모 조정

 


 

2025년 청년도약계좌는 더 많은 청년들에게 혜택을 주도록 개편되었습니다.

지원금 인상, 가입 조건 완화 등 다양한 혜택을 놓치지 말고 신청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