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 융

청년들을 위한 저축 총정리. 직접 경험하고 비교한 후기까지!

by 솜솜디의 별별꿀팁 2025. 4. 19.
반응형

 

안녕하세요 :)

오늘은 제가 직접 신청하고 지금도 꾸준히 활용 중인 청년도약계좌청년내일저축계좌를 비롯해,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자산 형성 저축 제도 5가지를 소개하려고 해요.

사회 초년생으로서 저축은 하고 싶은데 생활비도 빠듯하고, 어떻게 모아야 할지 막막했던 저에게 가장 도움이 되었던 건 이런 정부지원형 저축 상품들이었어요. 지금까지 모은 금액만 해도 벌써 1,200만 원이 넘었답니다...!

이 글은 제 경험을 바탕으로 신청 팁과 주의사항까지 정리해보았으니, 끝까지 꼭 읽어보세요!


1. 청년도약계좌 – 장기전 목돈 마련에 최고

 

최근 가입한 제도인데요, 월 최대 70만 원 납입 가능하고 정부가 최대 3만 4천 원까지 매칭해줍니다.
저는 월 50만 원씩 넣고 있고, 5년 후면 4,000만 원 정도 모일 예정이에요. 이건 진짜 저축+보너스 느낌이에요.

  • 신청 방법: 국민·신한·하나·농협 등 은행 앱에서 비대면 신청 가능
  • 추천 이유: 안정적으로 목돈을 만들고 싶은 청년에게 강력 추천! 청년도약계좌는 소득 요건만 충족하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어요.
  • 사이트: https://www.청년도약계좌.kr
    → 정부에서 운영하는 공식 홈페이지로, 가입 조건·은행 목록·납입 예시 등 확인 가능

2. 청년내일저축계좌 – 저소득 청년의 희망통장

제가 이 통장을 처음 알게 된 건 친구 덕분이었어요. 월 10만 원만 넣으면 정부가 30만 원을 추가 적립해줍니다!
3년 동안 꾸준히 넣으면 총 1,440만 원을 받을 수 있어요. (실제로 저는 작년에 만기됐고 이 돈으로 전세금 보탰어요 ㅠㅠ)

  • 신청 방법: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 연 1회 모집 공고 확인 필수!
  • 주의사항: 근로 중이어야 하고, 중도 해지 시 정부지원금 못 받습니다. 교육이수도 꼭 하셔야 해요!
  • 사이트:  https://www.bokjiro.go.kr/ssis-tbu/tbu/yngh2/yngh2020/moveYngh2020.do
    → 복지로 공식 페이지. 신청 자격, 소득기준, 제출서류 안내 포함

3.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 주거 준비는 이걸로!

 

기존 청약통장이 있다면 갈아탈 만한 가치가 있는 고금리 통장이에요. 무주택 청년이면 가입 가능하고, 연 4.5% 이자청약 가점도 쌓이는 구조입니다.

  • 신청 방법: 우리, 신한은행 등 주택도시기금 취급 은행에서 신청 가능
  • 활용 팁: 나중에 청년전세자금대출 같은 대출 조건에도 유리하게 작용해요!
  • 사이트: https://www.myhome.go.kr/hws/portal/cont/selectContRentalView.do#01_03_03
    → 마이홈 포털 내 주택청약 관련 정보. 통장 혜택과 가입 조건 등 확인 가능

4. 내일채움공제 – 중소기업 재직자라면 무조건 신청!

저희 회사에서 신청해준 상품인데요, 매달 일부 금액을 저축하고 회사와 정부가 함께 보탭니다.
5년 재직 시 최대 3,000만 원 이상 받을 수 있어요. 저처럼 이직을 자주 생각하는 분들에겐 동기부여도 되고 좋아요.

  • 신청 방법: 기업에서 먼저 가입해야 하며, 이후 중진공 홈페이지에서 신청
  • 주의사항: 중도퇴사 시 환급금이 확 줄어요. 최소 2~3년은 다닐 생각이 있다면 도전!
  • 사이트: https://www.sbcplan.or.kr
    → 중소기업진흥공단의 공식 홈페이지. 신청 절차, 예상 수령액, 회사 등록 여부 확인 가능

5.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 절세 + 자산 증가

이것도 제가 알아보고 나중에 추가로 신청했는데요, 소득공제 효과와 함께 금리도 높아서 든든합니다.
월 50만 원씩 3년만 모아도 2,000만 원 넘게 받을 수 있어요.

  • 신청 방법: 참여 기업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홈페이지에서 신청
  • 활용 팁: 내일채움공제와 병행 여부 확인 필수!
  • 사이트: https://www.kosmes.or.kr/sbc/SH/EHP/SHEHP001M0.do
    → 내일채움공제와 유사하게 운영되며, 소득공제 등 부가 혜택 확인 가능

한눈에 보는 비교표

제도명 지원금 기간 예상 수령 신청조건
청년도약계좌 월 최대 3.4만 원 5년 최대 5,000만 원 소득요건 있음
청년내일저축계좌 월 30만 원 3년 1,440만 원 중위소득 50% 이하
청약드림통장 연 4.5% 이자 자유 이자 + 청약가점 무주택 청년
내일채움공제 정부 + 기업 2~5년 최대 3,000만 원+ 중소기업 재직
재직자 우대공제 고금리 + 소득공제 3년 2,000만 원+ 중소기업 청년

 


 

막막하기만 했던 저축이 정부 지원 저축 제도 덕분에 조금씩 빛을 보게 됐어요.
청년도약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등은 많은 청년들이 몰라서 놓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주변 친구들과도 꼭 공유해보세요!

 

청년 자산 형성은 어렵지만, 알고 나면 방법이 보입니다. 지금부터라도 차근차근 준비해보세요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반응형